들어가며
요즘 대학생 연합 게임 제작 동아리 'Bridge'에서 '게임을 디자인하다'라는 기획 소모임 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주에는 각자 원하는 주제로 역기획서를 작성해보기로 했는데 나는 'Slime Rancher'의 Plort market system를 다뤄보고자 했다.
마침 현재 개발 중인 <뚜두 농장>에서 유사한 상점 시스템을 기획할 예정이어서 이를 분석하면서 상점 시스템에 대한 생각이 구체화되기를 바랐다.
기타 다른 이야기는 각설하고 아래에 역기획서를 정리하도록 하겠다.
Plort market system 역기획
후기
항상 역기획서를 작성해봐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작성할 엄두는 안 났었다. 그러다 우연히 동아리 소모임에서 역기획서를 작성해 볼 기회가 생겼는데, 이번에 작성하면서 배운 점이 정말 많아서 단순히 게임 분석만 하는 게 아니라 주기적으로 역기획서도 작성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Slime Rancher'의 Plort market system(이하 플로트 마켓)은 작성하면서 우여곡절이 많았다. 플로트 마켓에 대한 알고리즘은 슬라임 랜처 팬덤의 위키 문서를 참조했는데 설명한 알고리즘과 데이터가 맞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그냥 위키에서 설명하는 알고리즘대로 역기획서를 작성했다.
추가로, 왜 일반적인 random 함수를 안 쓰고 perlin noise 함수를 쓰는건지 계속 고민했는데, 이미 답을 찾아놓고 "뭐지..?" 이러고 있었다 ㅋㅋㅋㅋ 모자란 영어 실력에 슬라임 랜처 레딧까지 가서 글을 남겼다 ㅋㅋㅋ Plort를 Flort로 잘못 적은 건 넘어가자.. 제목은 수정이 안 되더라..
Is flort market random algoritm used perlin randomness function?
Hello. I'm slime rancher user. When I check [slime rancher wikipedia](https://slimerancher.fandom.com/wiki/Plort_Market), I found plort...
www.reddit.com
그리고 이번 역기획서를 작성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 기획자로서의 내 강점과 관련된 점인데 나의 강점은 다른 직군에 대한 경험이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껏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획자는 '전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가능하다면 프로토타입을 직접 만들어서 보여주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어차피 개발은 계속하려고 했으니 앞으로 개인 공부할 겸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전달하면 될 것 같다.
참조
GitHub - AeonFlor/GameSystem_Prototype: 게임 분석을 하면서 본 신기한 시스템이나, 기획할 때 필요한 시스
게임 분석을 하면서 본 신기한 시스템이나, 기획할 때 필요한 시스템을 구현한 코드 저장소. Contribute to AeonFlor/GameSystem_Prototyp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SlimeRancher Plotmarket system 역기획서 (PDF)
※ 정말 정말 혹시라도, 이 역기획서를 사용할 일이 있다면 출처만 남겨주세요!(댓글도.. 관심.. 히히..)
'게임 디자인 > 연습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편집] 『Devil May Cry 5』 - 닥터 파우스트를 이용한 레드 오브 파밍 가이드 (0) | 2025.03.28 |
---|---|
[창작] Monumentum - Concept (0) | 2024.03.12 |
[레벨 디자인] 올림픽공원 소마미술관 (0) | 2023.02.03 |
[레벨 디자인] 경복궁 향원정 (0) | 2023.02.02 |